Chihiro's Blog
[JAVA 재수강] 2일차 - 변수 / 3일차 본문
변수란? (Variable)
변수 (Variable)는 프로그램의 처리 과정에서 데이터를 담아둘 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을 의미합니다.
하나의 변수에는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고 이 값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즉 변할 수 있는 값, 변수(Variable)라고 불립니다.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변수 선언을 해야 합니다.
1. 데이터 타입을 먼저 입력해야 합니다. (EX : int, double, String.. etc)
- 변수에 기억시킬 데이터의 형태를 의미합니다.
2. 변수명을 입력 시켜야 합니다.
- 기억장소 주소를 대신하여 사용할 이름입니다.
3. 마지막으로 초기값을 입력해야 합니다.
- 변수를 선언한 후 기억시킬 값입니다.
예를 들어 이런식으로 선언을 할 수 있습니다.
int a;
// 여기서 int는 데이터 타입을, a는 변수명을 뜻합니다.
초기값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int a = 1;
// int는 형태
// a 는 변수명
// 1은 변수 초기 값입니다.
데이터 타입 (Data type)
데이터에는 정수, 실수, 문자, 논리(참 또는 거짓) 등이 있는데, 각각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종류가 다릅니다.
그래서 데이터 타입으로 어떤 데이터를 담는 변수인지 표시합니다.
데이터 타입에는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논리형이 있습니다.
- 정수형 데이터 타입
정수형 데이터 타입은 정수를 저장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정수형 데이터 타입에는 크기별로 byte, short, int, long 네 가지가 있습니다.
자료형 | 바이트 | 비트 | 저장 가능한 값의 범위 |
byte | 1 | 8 | -128 ~ 127 |
short | 2 | 16 | -32,768 ~ 32,767 |
int | 4 | 32 | -2,147,483,648 ~ 2,147,483,647 |
long | 8 | 64 |
- 실수형 데이터 타입
실수형 데이터 타입은 실수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이며 float와 double이 있습니다.
- 문자형 데이터 타입
문자형 데이터 타입은 문자를 담을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이며 char가 있습니다.
형변환
형변환은 말 그대로 변수나 상수의 데이터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바꾸는 것을 의미합니다.
형변환에는 자동 형변환과 명시적 형변환이 있습니다.
자동 형변환은 프로그램 작성자가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자바가 알아서 알맞은 타입으로 변환해주는 형변환이고,
명시적 형변환은 프로그래머가 변수의 자료형을 강제로 바꾸는 것을 말합니다.
변수 (Variable) 정리
변수는 기억 공간이다.
프로그래밍의 편리함을 위해 메모리의 일정 영역을 할당 받는다.
용도에 따른 분류
변수 / 상수 / 리터럴
변수명의 명명 방법 [명명 규칙 / 관례]
변수명을 잘 짓는 연습을 시작하자.
'프로그래밍 언어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재수강) 5일차 - 제어문과 If 조건문 (1) | 2019.06.17 |
---|---|
(JAVA 재수강) 4일차 - 연산자(1) (1) | 2019.06.14 |
[JAVA재수강] 1. 출력 / 지시자 (0) | 2019.06.11 |
for문을 활용한 프로그램 만들기 (1) | 2019.06.05 |
[Java] 9일차 while문 (0) | 2019.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