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프로그래밍 언어/Python (9)
Chihiro's Blog
1. 상속(inheritance) 이란? 클래스에서 상속이란, 물려주는 클래스(Parent Class, Super class)의 내용(속성과 메소드)을 물려받는 클래스(Child class, sub class)가 가지게 되는 것. 예를 들면 국가라는 클래스가 있고, 그것을 상속받은 한국, 일본, 중국, 미국 등의 클래스를 만들 수 있으며, 국가라는 클래스의 기본적인 속성으로 인구라는 속성을 만들었다면, 상속 받은 한국, 일본, 중국 등등의 클래스에서 부모 클래스의 속성과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음을 말합니다. 기본적인 사용방법은 아래와 같음. 자식클래스를 선언할때 소괄호로 부모클래스를 포함시킵니다. 그러면 자식클래스에서는 부모클래스의 속성과 메소드는 기재하지 않아도 포함이 됩니다. 부모 클래스 자식 클래스..
클래스 클래스는 객체의 구조와 행동을 정의한다. 객체의 클래스는 초기화를 통해 제어한다. 클래스는 복잡한 문제를 풀기 쉽게 만든다. 클래스 사용 (1) 객체화 객체명 = 클래스명() (2) 클래스로 직접 접근 클래스명.필드명 하위 연산자 A.B : A안에 B 클래스 내에 함수 선언 def 함수명(self): self : 클래스 안에 있는 함수가 객체 자신의 함수라는 것을 컴퓨터에게 알려주기 위함 self라는 매개변수에 자동으로 주소값이 넘어간다. (따로 넣어줄 필요가 없다.)
def f(x): return 2*x+1 result = f(3) print(result) 예를 들어 덧셈 함수를 만들 경우 def add(num1, num2): return num1+num2 result = add(1,3) result2 = add(result, 4) print(result2) 이런 식으로 적으면 된다. 홀수를 넣으면 짝수로, 짝수를 넣으면 홀수로 바뀌는 함수 만들기 def change(num): changedNum = 0 if num % 2 == 0: print('짝수를 입력하셨습니다.') print('홀수로 바뀝니다.') else : print('홀수를 입력하셨습니다.') print('짝수로 바뀝니다.') num + 1 #changedNum = num+1 #return changed..
반복문 for문의 경우 for 변수명 in range(초기값, 조건식, 증감량): - 변수명은 보통 회사에서 i j k 를 이용한다고 합니다. for문 예시 (자신의 이름 반복 표출하기) #자신의 이름 반복하기 >>> for i in range (0, 5, 1): print('치히로') 치히로 치히로 치히로 치히로 치히로 while문의 경우 while 조건식: 반복할 문장 #(조건식이 참일때 반복) break #반복문 탈출 continue #다음 반복문으로 넘어가기 if - 조건문 - 프로그래밍에서 조건을 판단하여 해당 조건에 맞는 상황을 수행하는 데 쓰이는 것 - 들여쓰기와 콜론 꼭 꼭 확인하기 if 조건문: 실행문1(True일 때)
연산자에는 비트연산, 조건 연산자, 그리고 삼항 연산자가 있습니다. 비트연산 AND, OR, XOR, NOT, RIGHT SHIFT, LEFT SHIFT가 있습니다. 조건 연산자 (비교 연산자) : 조건식에 사용합니다. 조건식이란 결과값이 참 또는 거짓값만 나오는 식을 뜻합니다. == 같다 != 같지 않다 > =,
강제 형변환은 영어로 Casting 이라고 한다. 바꿀타입 (값) --> 타입이 강제로 변환된다. 1. int int의 경우 정수형입니다. 예를들어, 4, 8 같은 것입니다. 8.43 더하기 2.59는 11.02인데, 값 앞에 정수형으로 타입을 바꿔 더하면 앞에 값의 정수와 뒤에 값의 정수는 더해지고, 뒤에 값의 소숫점 값만 더해집니다. >>> print(8.43 + 2.59) 11.02 >>> print(int(8.43) + 2.59) 10.59 이런식으로 더해지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에 있는 식을 참고해주세요. >>> print(int(8.43+2.59)) 11 >>> int(8.43)+int(2.59) 10 2. float float는 실수형입니다. 1.5, 2.3 같은 것 입니다. 3 나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