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hiro's Blog
[웹개발] 6일차 - 배열 (array) 본문
배열(array)
같은 타입 여러개의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만든 것을 배열이라고 합니다.
배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값을 요소라고 합니다. 또한 배열의 위치를 가리키는 숫자는 인덱스라고 합니다.
인덱스는 0으로 시작하며, 0을 포함한 양의 정수만을 가질 수 있습니다.
배열 선언문법
데이터타입[] 배열이름; -> 배열의 선언
데이터타입 배열이름[]; -> 배열의 선언
배열이름 = new 데이터타입[요소의갯수]; // 실제 배열을 생성
//한번에 쓰려면 이렇게 입력
데이터타입[] 배열이름 = new 데이터타입[요소의갯수] // 배열의 선언 및 생성
//
데이터타입[] 배열이름 = {요소1, 요소2, 요소3,...}; // 배열의 선언 및 초기화
데이터타입[] 배열이름 = new 데이터타입[] {요소1, 요소2, 요소3 ...}; --> Array02
메모리 구조
모든 자바 프로그램은 JVM을 통해 실행됩니다. 자바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JVM은 운영체제로 부터 해당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메소드영역
자바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클래스에 대한 정보와 클래스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입니다.
JVM은 자바 프로그램에서 특정 클래스가 사용되면 해당 클래스의 클래스 파일을 읽어들여, 해당 클래스에 대한 정보를 메소드 영역에 저장합니다.
힙영역
자바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모든 인스턴스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입니다. JVM은 자바 프로그램에서 new키워드를 사용하여 인스턴스가 생성되면, 해당 인스턴스의 정보를 힙영역에 저장합니다.
스택영역
자바 프로그램에서 메소드가 호출될 때 메소드의 스택 프레임이 저장되는 영역입니다. JVM에서 자바 프로그램에서 메소드가 호출되면,
메소드의 호출과 관계되는 지역변수와 매개변수를 스택 영역에 저장합니다.
이렇게 스택 영역은 메소드의 호출과 함께 할당되며, 메소드의 호출이 완료되면 소멸됩니다.
코드영역
자바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텍스트 영역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CPU는 코드 영역에 저장된 명령어를 하나씩 가져가서 처리하게 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개발] 8일차 메소드 (0) | 2019.07.18 |
---|---|
[웹개발] 7일차 - 다차원 배열 / 메소드 (0) | 2019.07.17 |
[웹개발 5일차] 반복 (0) | 2019.07.16 |
[웹개발] 4일차 형변환 / if (2) | 2019.07.15 |
웹개발 수업 2일차 (자료형, 연산자) (0) | 2019.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