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8)
Chihiro's Blog
1. 문자열 입력받기 문자열을 입력 받을 때 많이 쓰이는게 Scanner 입니다. 먼저 Scanner를 쓰려면 import를 이용해 호출을 해야 합니다. import java.util.Scanner; 그 다음 Scanner를 생성하려면 아래 문장을 이용하면 됩니다.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마지막으로 Scanner 객체 사용 후 반드시 close() 를 해야 합니다. sc.close(); 예를 들어서 정수 두개를 키보드로부터 입력을 받아보겠습니다. System.out.println("숫자1을 입력하세요 : "); num1 = sc.nextInt(); System.out.println("숫자2을 입력하세요 : "); num2 = sc.nextInt(); Syste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3kZUh/btqvb5YlFEE/wobphXHzkKotcnCNFgTdd0/img.png)
0. 출력 전에 알아둬야 할 점 / 팁 1. 모든 프로그램은 main() 메소드로부터 '시작' 한다. 2. 프로그램의 실행순서는 '시작'부터 한 문장 (Statement) 씩 '차례대로' 실행되는 것이 원칙이다. 3. '문장' 의 끝은 반드시 세미콜론 ';' 으로 마무리 해야 한다. - sysout 입력 후 Ctrl + Spacebar를 누르면 'System.out.println();' 로 바뀐다. 참고하자. 1. 출력 (1) 기본적인 출력 - Python 에서는 문장을 출력하려면 print('Hello World!') 이런 식으로 입력이 가능했지만 - 하지만 Java에서는 System.out.println("Hello JAVA"); 이런 식으로 입력을 해야 했었다. 강사님이 Python을 공부하고 Ja..
1. class명은 대문자로 시작함. 2. public static ... 체크하기 3. package라는 키워드를 상단에 명시 후 시작 4. 자바의 소스파일을 classfile이라고 불린다 5. public class ->내용 정의 6. '{'를 더블클릭하면 블록의 시작과 끝을 알 수 있음. 7. /* -> 주석처리 // -> 한줄 주석 /* -> 블록 주석 8. JAVA에서는 블록을 많이 쓰이게 됨. 9. 오류가 발생할 경우 좌측 (x모양) 우측 스크롤 빨강색 칸이 생김 10. System.out.println(); -> 출력문 / println은 출력 후 줄바꿈을 함. (ln)은 line을 뜻함. / print는 라인을 이어서 표출함 이러한 개념을 기억해줘야 함 12. Ctrl + F11 -> 콘솔..
1. 상속(inheritance) 이란? 클래스에서 상속이란, 물려주는 클래스(Parent Class, Super class)의 내용(속성과 메소드)을 물려받는 클래스(Child class, sub class)가 가지게 되는 것. 예를 들면 국가라는 클래스가 있고, 그것을 상속받은 한국, 일본, 중국, 미국 등의 클래스를 만들 수 있으며, 국가라는 클래스의 기본적인 속성으로 인구라는 속성을 만들었다면, 상속 받은 한국, 일본, 중국 등등의 클래스에서 부모 클래스의 속성과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음을 말합니다. 기본적인 사용방법은 아래와 같음. 자식클래스를 선언할때 소괄호로 부모클래스를 포함시킵니다. 그러면 자식클래스에서는 부모클래스의 속성과 메소드는 기재하지 않아도 포함이 됩니다. 부모 클래스 자식 클래스..
클래스 클래스는 객체의 구조와 행동을 정의한다. 객체의 클래스는 초기화를 통해 제어한다. 클래스는 복잡한 문제를 풀기 쉽게 만든다. 클래스 사용 (1) 객체화 객체명 = 클래스명() (2) 클래스로 직접 접근 클래스명.필드명 하위 연산자 A.B : A안에 B 클래스 내에 함수 선언 def 함수명(self): self : 클래스 안에 있는 함수가 객체 자신의 함수라는 것을 컴퓨터에게 알려주기 위함 self라는 매개변수에 자동으로 주소값이 넘어간다. (따로 넣어줄 필요가 없다.)
def f(x): return 2*x+1 result = f(3) print(result) 예를 들어 덧셈 함수를 만들 경우 def add(num1, num2): return num1+num2 result = add(1,3) result2 = add(result, 4) print(result2) 이런 식으로 적으면 된다. 홀수를 넣으면 짝수로, 짝수를 넣으면 홀수로 바뀌는 함수 만들기 def change(num): changedNum = 0 if num % 2 == 0: print('짝수를 입력하셨습니다.') print('홀수로 바뀝니다.') else : print('홀수를 입력하셨습니다.') print('짝수로 바뀝니다.') num + 1 #changedNum = num+1 #return changed..